지방 쓰는 법 ( 제사 지방,지방의 뜻)
차례상이나 제사상을 차리다 보면 지방을 쓰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지방은 자주 쓰는 것도 아니고, 그 내용도 잘 모를 때가 있는데
오늘은 조상님께 제를 올릴 때 사용하는 사용하는 '지방의 뜻, 지방 쓰는 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위(神位), 지방(紙榜)란?
원래 신위(神位)라 함은
죽은 사람의 영혼이 의지할 자리 또는 신주, 위패를 모셔 두는 자리라 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주로 집에다가 사당을 만들고 역대 조상님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냈었는데,
세월도 변하고, 사당을 만든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요즘에는 많은 가정에서 영정(사진 또는 초상화)이나 지방(紙榜)으로 대신합니다.
지방(紙榜)은 주로 제사 지낼 때에는 사용하는데,
고인(조상님)을 상징하는 것으로 신주 대신으로 사용하였으며
제사 직전에 만들었다가 제사를 마치면 소각합니다.
지방의 내용으로는
제사를 모시는 사람과 조상과의 친속관계, 조상의 관직(여성은 봉호), 시호(여성은 성씨)등을 나타냅니다.
지방 쓰는 법
지방의 규격 및 작성 기준
지방의 규격은 가로 6Cm, 세로 22Cm로 원칙은 한지를 사용하는 것이나,
요즘 한지 구하는 것이 쉽지 않기에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A4 용지를 사용해도 됩니다.
모든 지방은 제주, 즉 고인의 제사를 모시는 사람 기준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제사는 제주의 집에서 지내는 것으로 제사에서 제주가 되는 사람은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사를 직접 주체하게 됩니다.
지방 내용
지방은 크게 4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번 부분은 고인과 제주와의 관계를 적는데,
현(顯)은 존경의 의미로 지방의 첫글자로 붙는데 아랫사람한테는 쓰지 않습니다.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이라고 적고, 할아버지는 조고, 할머니는 조비라고 적습니다.
2번 부분은 직위를 뜻하는 부분으로
벼슬을 했을 경우 벼슬 이름을 쓰고, 여자 조상님도 그에 맞게 급을 적어주시면 됩니다.
보통 벼슬이 없는 남자의 경우에는 학생(學生), 여자인 경우에는 유인(孺人)이라고 적습니다.
반대로 관직에 있던 경우는 관직명을 적습니다.
학생 대신 처사(處士)라고도 쓰며, 18세 미만에 죽은 자는 수재(秀才)나 수사(秀士) 라고 씁니다.
그리고 3번은 보통 고인의 이름을 적는 곳으로
남자 조상님 같은 경우 모두 부군, 여자 조상님일 경우 본관과 성씨를 적습니다.
마지막으로 4번은 조상의 위치를 말합니다.
▶ 남성
모시는 조상 + 조상의 관직 + 조상의 이름 + 조상의 자리 순으로 구성.
어떤 이름의 어떤 벼슬을 지낸 몇 대 조상의 자리란 의미
한자 |
顯 考 |
學 生 |
府 君 |
神 位 |
음 |
현 고 |
학 생 |
부 군 |
신 위 |
구성 |
①모시는 조상 |
②조상의 지위 |
③조상의 이름 |
④조상의자리 |
의미 |
* 顯 존경의 의미 * 考 돌아가신 아버지를 의미 |
* 학생 관직이 없는 경우로 과거시험 준비 중인 예비관원을 의미 * 관직 관직이 있는 경우 그 관직을 쓴다. |
* 府君 제사대상이 자신의 윗사람인 경우 *이름 제사대상이 자신의 아랫사람인 경우 |
神位 |
작성법 |
아버지 顯考 할아버지 顯祖考 증조할아버지 顯曾祖考 고조할아버지 顯高祖考 |
벼슬이 없는 경우 學生 국회의원인 경우 國會議員 |
|
|
▶ 여성
모시는 조상 + 남편의 벼슬에 따른 봉작 + 성씨 + 조상의 자리 순으로 구성
어떤 성씨의 어떤 여성 지위의 몇 대 조상의 자리란 의미
한자 |
顯 妣 |
孺 人 |
密 陽 朴 氏 |
神 位 |
음 |
현 비 |
유 인 |
밀 양 박 씨 |
신 위 |
구성 |
①모시는 조상 |
②조상의 지위 |
③조상의 성씨 |
④조상의자리 |
의미 |
顯 존경의 의미 妣 돌아가신 어머니를 의미한다 |
* 孺人 일정한 봉작이 없는 경우 * 봉작이 잇으면 봉작을 쓴다 |
부인이 두 분 이상인 경우 구분하기 위함. |
神位 |
작성법 |
어머니 顯妣 할머니 顯祖妣 증조할머니顯曾祖妣 고조할머니顯高祖妣 |
봉작이 없으면 孺人 정경부인인 경우 ~ 貞敬夫人 ~ |
본관 + 성씨 |
|
작성 위치
한 장의 지방에 남,여 조상 두 분의 신위를 쓸 때는 중앙을 기준으로 왼쪽은 남자조상을 쓰고, 오른쪽은 여자조상을 쓰며 세로쓰기를 한다.
- 부모님 지방 - - 조부모님 지방 - - 고조부모님 지방 -
아버님 어머님 지방 쓰는 법
아버지 한분만 제사를 지낸다면 중간에 '현고학생부군신위'라고 적으면 됩니다.
반대로 어머님 한분만 제사를 지낸다면 '현비유인(본관+성씨)신위'라고 적으면 됩니다.
- 아버님 지방 - - 어머님 지방 -
요즘은 굳이 한자로 적지 않고
한글로 '아버님 신위', 또는 '어머님 신위'라고 쓰기도 한다고 하니 참고 하시면 될 듯 합니다.